의경제경 한상진 실전 경영 강의

한상진의 경영학 특강/사례연구 (의료산업: 제약 및 의료기기) 8

[Case Study] 헬스케어 ESG 경영의 선두주자, 노보노디스크

유럽의 연기금들이 지속가능한 지구생태계에 대한 정부의 관심을 기업 투자에 반영하고, 등급을 측정해 기업들에게 ESG경영에 대한 필요성을 강조하면서, 온난화와 기후급변에 대해 기업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변화를 유도하고 있습니다. 이익을 추구하는 기업들에게 매출과 이익 외의 비재무적 가치의 중요성에 대해 관심을 갖을 수 밖에 없도록 유도하고 있는것입니다. 기업이 스스로 선하다기 보다는 비영리단체인 정부의 영향력을 연기금을 통해, 회사등급에 따른 투자자들의 선택에 영향을 주어 관심을 갖도록 리드해나가는 것입니다. 세계적인 다국적제약사들 중 암젠(Amgen)은 매년 2700만명에게 과학 교육프로그램 지원하는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고, 화이자(Pfizer)의 경우는 제약 업계 최초로 지속가능채권 발행하고 ..

[Case Study] 비아그라 디자인 특허 분쟁

1990년대 세계최초의 FDA 승인을 받은 경구용 발기부전 치료제 "비아그라"를 출시한 화이자(Pfizer)는 당시 프로페시아나 제니칼과 같이 Life Style Drug의 선두 주자로 세계적인 블록버스터 제조사로 의약품 시장을 주도하였습니다. 당시 카버젝트나 뮤즈와 같이 음경에 직접 적용하는 침습적인 치료에 의존하던 시기에 비아그라의 등장은 발기부전에 대한 질병으로의 인식과 치료 페러다임 자체를 바꾸는 혁신적인 제품이었습니다. 비아그라에 얽힌 많은 재미있는 이야기들, 예를 들면... 비아그라는 Vigor (정력)이 Niagara(나이아가라 폭포) 처럼 솓는다는 의미로 합성된 제품명이라든가, 그럼에도 Viagra는 이전 부터 화이자사에서 차기 제품명을 위해 이미 준비해 놓은 Name이었다던가, 비아그라는..

[Case Study] 존슨앤존슨 타이레놀의 위기 대응 사례

의약품관련 경영 사례중 이만큼 유명한 사례도 없을 것입니다. 이번 주제는 바로 존슨앤존슨의 타이레놀 사건에서의 위기 관리 사례입니다. [사건의 발생] 이 사건은 1982년 가을 익명의 범인이 악의적으로 시카고 지역의 6군데 약국의 타이레놀(Tylenol Extra-Strength Capsule)을 독극물인 시안화물(청산가리)로 바꿔치기하여 7명이 사망한 사건입니다. [당시 상황] 지금도 유명한 제품이지만 그 당시 타이레놀은 존슨앤존슨 이익의 19% (Q3.1982)를 차지하였고, 회사의 전체 연간 성장률에서 33%의 기여도를 가진 제품이었으며, 진통제 시장에서의 시장점유율이 37%에 이르는 매우 중요한 제품이었습니다. 이렇게 중요하고 거대한 제품에 예상하지 못한, 그리고 회사가 전혀 통제할 수 없는 치명..

[Case Study] 화이자와 구충제, 페니실린, 그리고 백신

화이자의 역사는 1849년까지 거슬러 올라갑니다. [독일에서 약제사 수련생으로 화학을 공부한 찰스 화이자 (Charles Pfizer)와 제빵 기술을 익힌 찰스 에어하트(Charles Erhart)는 각자의 지식과 기술을 합쳐 1849년 뉴욕 브룩클린에 화학 약품 회사인 찰스 화이자 앤 컴퍼니 (Charles Pfizer & Company)를 설립했습니다. (출처: 한국화이자제약 웹사이트)] 화이자의 첫 번째 혁신은 시장의 니즈에 충족하는 제품 개발에서 출발하였습니다. 그 당시 구충제의 경우 쓴맛이 강했는데, 제과기술자인 찰스 에어하트와의 협업으로 쓴맛을 줄인 사토닌 당의정을 판매하였습니다. (당의정: Sugar-coated tablet. 정제표면에 백당의 경질층을 입힌 것) 이후 구연산*, 붕산, 요오..

[Case Study] 엘러간 유방보형물 리콜 사례

유방 보형물 리콜 사례: 엘러간의 나트렐 바이오셀 보형물 2019년 7월 미국의 거대 제약사이자 의료기기 회사인 엘러간이 나트렐 인공 유방 삽입물(Natrelle BIOCELL textured breast implants)에 대한 [자발적 리콜]을 실시하였습니다. 미국 FDA는 이 제품이 '역형성 대세포 림프종 (anaplastic large cell lymphoma)'이라고 불뤼는악성 종양을유발한다는분석을 하였습니다. (이 제품이 다른 표면이 거친 textured* 제품에 비해 6배 더 높은 발암성을 보였다고 합니다.) 미국FDA는 해당 보형물의 지속적인 판매가 심각한 이상반응을 유발할 수 있으며, 심각할 경우 사망에 이르게 할 수 있으므로 엘러간에게 246,381개의 미 사용된 보형물에 대한 리콜(회..

[Case Study] 필립스 양압기 리콜 사례

한국 양압기 시장은 2018년 7월부터 국민건강보험 급여가 적용되기 시작하면서 지속적으로 성장 중인 시장입니다. 기존에 양압기 가격 만 약 200만원 정도 하고, 별도의 소모품 비용도 들어가던 제품을 수면무호흡증 진단 후 [처방 임대]를 받을 경우 2022년기준 본인 부담금 약 1만9천원에 양압기는 물론 필터와 마스크와 같은 소모품들 까지 모두 건강 보험 혜택을 받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현재 이 시장의 주요 Player는 필립스(Phillips)와 레즈메드(ResMed) 입니다. 그런데 2021년 4월 26일, 필립스는 당해 1분기 실적 발표에서 수면 및 호흡기 케어 사업부 일부 제품에 적용된 부품에 문제가 있음을 확인했다고 공시한 후, 잠재적 위해가 있다고 결론 내리고, 같은 해 6월 14일 글로벌 ..

[Case Study] Merck 바이옥스 임상시험 사례

제약사에서 임상시험 연구의 윤리성이 강조되는 것은 비단 시험의 객관성, 과학성 문제에 그치지 않고 기업의 지속 가능한 경영, 평판, 주가, 손익에도 상당한 영향을 줍니다. 그 사례로 미국 머크 (MSD)의 바이옥스 사례를 살펴 보겠습니다. 1999년 Pfizer와 Merck(미국 Merck, MSD)사는 기존 NSAIDs의 위장관계 부작용을 현저히 줄인 COX-2 저해제를 출시합니다. 각각 쎄레브렉스(celecoxib)와 바이옥스(rofecoxib). 이 제품들은 골관절염, 류마티즘, 그리고 급성통증에 사용되는 약물들로 기존 주 처방 제품이었던 스테로이드나 NSAIDs에 비해 이상반응(위장관계)을 줄인 새로운 기전의 혁신적 제품이었습니다. 사실 이 두 제품들은 출시 이후 상당히 좋은 판매를 보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