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의 연기금들이 지속가능한 지구생태계에 대한 정부의 관심을 기업 투자에 반영하고, 등급을 측정해 기업들에게 ESG경영에 대한 필요성을 강조하면서, 온난화와 기후급변에 대해 기업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변화를 유도하고 있습니다.

이익을 추구하는 기업들에게 매출과 이익 외의 비재무적 가치의 중요성에 대해 관심을 갖을 수 밖에 없도록 유도하고 있는것입니다.
기업이 스스로 선하다기 보다는 비영리단체인 정부의 영향력을 연기금을 통해, 회사등급에 따른 투자자들의 선택에 영향을 주어 관심을 갖도록 리드해나가는 것입니다.
세계적인 다국적제약사들 중 암젠(Amgen)은 매년 2700만명에게 과학 교육프로그램 지원하는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고, 화이자(Pfizer)의 경우는 제약 업계 최초로 지속가능채권 발행하고 있기도 합니다.
하지만 누가뭐라고해도 헬스케어산업중 가장 유명한 ESG 경영의 사례는 바로 노보노디스크 (Novo Nordisk)社의 사례입니다.

[노보노디스크의 환경경영]은 ESG의 본격적 시행보다 훨씬 앞선, 덴마크정부가 환경 보호 법안이 통과시킨 직후 1975년 한 약물 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폐수, 소음, 냄새를 측정하기 위한 독립적인 환경팀을 설립하면서 시작되었습니다.

에너지 재활용과 오폐수 대처리에 노하우를 축적한 노보노디스크는 2015년부터 RE100(Renewable Energy 100, 기업에서 사용하는 전력 100%를 재생에너지로 충당하겠다고 약속하는 글로벌 캠페인) 캠페인에 참여했고, 2020년 업계 최초로 100% 재생에너지로 제품을 생산하는데 성공하게됩니다.
이는 환경변화에 대한 유럽정부들의 우려와 덴마크정부의 관심과 동참에 대해 기업이 적극 동참하는 모범적인 사례입니다.
노보노디스크의 ESG 경영은 환경에 초점을 맞추고 있고 크게 아래 2개 부분으로 구성됩니다.
1. 경영활동에서 발생가능한 CO2의 최소화
2. 자연에너지나 폐기물을 이용한 친환경재생에너지 활용과 생산과정에서 발생되는 오폐수의 재처리 재사용

2005년부터 의약품 생산과 관련된 직접 배출을 줄이고, 나아가 탄소배출량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간접 배출 저감에도 투자를 해서 협력업체 (원료 공급 업체)들과 CO2 배출량을 줄이며, 자동차나 그 연료와 같이 CO2를 배출하는 구매 제품과 서비스로 인한 배출량을 저감하는 노력 역시 기울이고 있습니다.
고부가가치의 작은 부피 (노보노디스크의 주력 제품은 당뇨치료제들로 콜드체인이 중요한 인슐린주사펜, 썩센다 등임)를 가진 제품의 특성상 해상운송보다는 Air cargo를 통한 운송이 많아 항공화물 운송시의 CO2 저감을 위한 노력운 통해 지속가능한 항공연료(Sustainable air fuel: SAF)사용을 통하여 2025년까지 CO2 배출량 27% 저감을 목표로 설정하기도 합니다.
(이 기업의 2030년 목표는 의약품 생산과 유통과정에서 CO2 배출을 2030년까지 100% 저감입니다.)
노보 노디스크社는 자국의 DONG에너지 社와의 협력을 통해서 북해 해상의 풍력에너지를 이용하기로 하였으며, 그 외 태양열, 수력 또는 바이오 매스를 기반으로 할 수 있습니다.
이 회사는 의약품 생산과정에서 친환경에너지를 사용하고, CLEAN program을 통해 생산 프로세스를 최적화하고 에너지를 절약하는 데 집중하고 있으며 생산과정에서 발생하는 물의 재처리 재사용에도 집중하고 있습니다.

유럽기구, 연기금, 덴마크정부의 환경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우려와 이익을 추구하는 영리기업의 협력이 만들어낸 노력이 향후 어떻게 발전되고 결과를 만들어갈지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해보겠습니다.

#ESG
#제약ESG
#의료산업환경경영
#노보노디스크ESG사례
#노보노디스크사례연구
'한상진의 경영학 특강 > 사례연구 (의료산업: 제약 및 의료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Case Study] 비아그라 디자인 특허 분쟁 (3) | 2022.09.27 |
---|---|
[Case Study] 존슨앤존슨 타이레놀의 위기 대응 사례 (0) | 2022.09.08 |
[Case Study] 화이자와 구충제, 페니실린, 그리고 백신 (0) | 2022.08.31 |
[Case Study] 엘러간 유방보형물 리콜 사례 (0) | 2022.08.28 |
[Case Study] 필립스 양압기 리콜 사례 (0) | 2022.08.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