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사방법 절차 중 이번에 다룰 내용은 자료수집 이다.
조사문제정의 -조사설계 - 자료수집 - 표본설계및조사 - 자료처리 - 보고서작성
전수조사와 표본조사
- 전수조사: 모집단 전체에 대해 측정을 실시- 문제점: (1)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 (2)비표본오차: 표본조사보다 부정확한 경우, (3) 전수조사자체가 불가능한 경우 (예: 파괴검사, 모잡단이 너무 큰 경우, 모집단이 누구인지 모를 경우)
- 표본조사: 모집단을 대표할 수 있는 일부 대상에 대해 측정을 실시 (Sample=표본)
표본조사 실시의 이유:
1) 시간과 비용 절감
2) 모집단의 특성인 모수 (Parameter)를 표본 통계를 통해 추정가능
3) 표본의 대표성과 표본의 크기도 중요: 표본크기를 정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 중심극한정리 (Central Limit Theorem): N=30 표본 이상일시 정규분포
- 신뢰구간 접근법: 신뢰구간, 표본크기, 분산 (Variance)을 알면 모집단 추정 가능하다.
- 가설검증접근법: 1종 및 2종의 오류의 최대 허용치를 정하고, 이를 토대로 표본크기를 결정한다.
- 예산 접근법
- 시간에 따라 결정
- 연구목적에 따라 결정
* 표본조사의 단점:
표본의 대표서에 대한 문제 야기, 표본크기가 작으면 표본이 무의미, 표본 설계가 복잡하면 시간과 비용이 낭비됨
시간적 차원에 따른 분류: 횡단조사 & 종단조사
횡단조사 (횡단면조사):
- 일정 시점을 기준으로 관련 변수에 대한 자료 수집
- 모집단에서 표본 추출 조사: 보통 한번에 측정
-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화가 아닌 사이한 집단의 차이를 비교
종단조사 (시계열조사): 같은 표본을 일정한 시간차를 두고 반복하여 측정 (변화측정가능)- 예: Nielson이나 TNS 시청률조사
- 패널조사: 특정 조사 대상을 정해놓고 반복조사 (고정패널, 다목적패널)
- 추세조사: 시간의 흐름에 따른 일반 대상 집단의 변화- 예: 매년 신입생만족도 조사 (2019년 19학번, 2020년 20학번, 2021년 21학번 대상 조사 등)
- 코호트 조사 (Cohort 조사): 동년배, 동류집단을 대상 - 같은 모집단에서 새로 샘플링: 예- X세대 조사, 베이비붐머세대 조사
- 델파이기법 (Delphi): (1) 전문가 대상, (2) 소수의 사람이 토론과정을 지배하는 현상을 차단, (3) [1차설문]-[수집]-[보고서]-[전체에 보고서공유]-[2차설문]-[최종보고서] : 2차설문대신 토론할 경우는 "정책델파이기법"
자료수집 성격에 따른 분류
- 양적조사 (Quantitative Study): 양적인 속성을 표현으로 통계분석이 필요하다. 객관적이며 일반화가 가능 (대규모분석) - 예: 실험, 서베이
- 질적조사 (Qualitative Study): 주관적, 해석적 연구 방법으로 주관적이고, 일반화가 불가하며 수규모의 분석이다 - 예: 현지연구, 참여관찰, 비표준화면접, 관찰법
예비조사 (Pilot Test)와 사전조사 (Pre-Test)
연구에서 앞서서 가설은 명확히 규정해 놓아야 한다. 연구결과와 가설을 비교한다.
1차 자료 조사 방법
1. 의사소통법:
1) 면접법:
(1) 표준화면접 (Structured)- 표준화된 면접조사표, 동일한 방법으로 면접하며, 면접자는 질문 내용을 임이로
바꿀수없다. - 신뢰도가 높음
(2) 비표준화면접 (Non-Structured)- 질문의 내용이나 순서가 정해져 있지 않다. - 타당성이 높다
* 참고: 면접조사기법
- Probing: 케어묻기. 응답이 완전하지 않을때 다시 질문하기.
- Laddering: 의견에 대해 이유를 묻고, 그 응답에 대해 다시 이유를 물어 응답자의 생각을 계층화하는 방법
2) 투사법 (Projective Technique):
(1) 정의: 직접적인 질문이 아니라 간접적인 자극물을 사용해서 응답자의 의견이 투사되도록하는 조사방법
(이미지파악, 제품사용이나 비사용의 심층적 동기, 민감한 사회적 이슈와 관련된 주제에 주로 이용된다)
* 특징: 면접법이나 서베이법 등과는 달리 응답자가 조사의 목적을 모르는 상태에서 다양한 심리적
의사소통법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는 방법이다.
(2) 종류: 연상법, 완성법, 구성법 (그림/사진 반응법, ZMET(잘트만식 은유 추출기법 /
Zalt-man Metaphor Elicitation Technique), 사진분류법, 만화완성법), 표현법(역할연기법, 제3자법)
[통상적 분류 방법: 연상 (association), 완성 (completion), 구성 (construction), 표현 (expression) 등의
기준에 따라 분류하는 방법]
[주요 방법들의 정의]
- 단어연상법: 조사자가 한 단어를 제시하고 응답자가 그 단어로부터 연상되는 단어들을 순서대로 나열하도록 하여 조사하는 방법이다.
- 그림묘사법: 응답자에게 이해하기 난해한 그림을 제시한 다음, 그 그림이 무엇을 묘사하는지 물어 응답자의 심리 상태를 파악하는 방법이다.
- 문장완성법: 응답자에게 미완성된 문장을 끝까지 완성하도록 하여 완성된 문장으로 응답자가 생각하는 바를 조사하는 방법이다.
- 만화완성법: 특정상황에 대한 만화들을 제시하여 응답자가 하여금 그 만화들을 의미 있게 순서를 정하거나 미완성인 만화를 완성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조사를 진행하는 방법이다.
2. 관찰법: 조사자가 관심있는 어떤 상황을 측정하거나, 행동을 관찰하여 기록하는 방식
1) 관찰법의 종류
(1) 직접관찰: 피험자가 따라다니면서 관찰
가. 참여관찰: 연구자가 관찰대상의 내부로 들어가 관찰
나. 비참여관찰: 조사원이라는 신분을 밝히고 관찰
다. 준참여관찰: 연구자가 생활의 일부에만 (일정시간에만) 참여하여 관찰
(2) 간접관찰: 피험자의 흔적을 관찰 (카드명세표. 쓰래기통 등)
2) 관찰법의 장단점
(1) 장점: 응답자의 심리상태, 본인의 늬낌이나 태도를 몰라도 조사가 가능하다
(2) 단점: 관찰이 불가한 행동들이 존재. 관찰을 통한 심리상태 추정은 객관성과 타당성이 낮다.
3) 관찰법의 신뢰성 및 타당성 증대 방법
(1) 신뢰성: 기술향상, 도구의 사용, 복수의 관찰자가 평가
(2) 타당성: 추리를 줄임, 관찰과 동시에 다른 방법도 병행
자료수집방법에 따른 장단점:
'한상진의 경영학 특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장조사] 제11강 - 5부: 연구 조사방법론 Deep-Dive- 설문작성과 표본추출/오차 (0) | 2020.11.03 |
---|---|
[시장조사] 제11강 - 4부: 연구 조사방법론 Deep-Dive- 자료분석/실험설계 (0) | 2020.10.29 |
[시장조사] 제11강 - 2부: 연구 조사방법론 Deep-Dive- 조사설계 (0) | 2020.10.17 |
[시장조사] 제11강 - 1부: 연구 조사방법론 개요 (0) | 2020.10.17 |
[마케팅] 제10강: 의료커뮤니케이션 전략- 컨텐츠 마케팅 (0) | 2020.09.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