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정
통계량 (Statistics)을 기초로 모집단의 특성인 모수를 추측하는 통계분석 방법
1) 구간추정: 모수를 일정 구간으로 추측
2) 점추정: 모수를 단일치로 추측
가설
검증되지 않은 2개 이상의 변수사이의 관계를 검증가능한 형태로 기술하는 것.
가설은...
1) 계량화가 가능해야 한다.
2) 경험적으로 검증가능해야 한다.
3) 조사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야한다.
4) 간단, 간결, 명료해야 한다.
5) 너무 당연한 명제는 안된다.
신뢰도 (신뢰수준)
모집단의 평균 μ가 포함될 신뢰 구간.
1) 95% 신뢰도 (신뢰수준)
2) 5% 유의수준 (오차수준) α=0.05- 유의수준
3) 유의확률 (P Value, Sig.=significant level): 잘못될 확률
* α (오차수준): 신뢰구간 내에 μ가 포함되지 않을 확률
* P값이 작으면 "귀무가설"은 "기각"된다.
가설검정
Sample을 통해 얻은 사실들을 근거로 모집단에 대한 가설이 맞는지 틀리는지 분석하는 통계방법
1) 귀무가설 (H0): 검정의 대상 (연구자는 자신의 주장을 위해 기각을 원하는 가설)
2) 대림가설 (H1): 귀무 가설이 기각될 시 받아들여짐 (연구자가 주장하는 가설)
[예]
기존 두통약과 신약의 비교 시
H0: 신약은 기존 두통약과 효과가 같을 것이다.
H1: 신약은 기존 두통약과 효과가 같지 않을 것이다.
(이 경우는 기각역이 양쪽에 있음. 양측 검정. 더 좋을수도/더 나쁠수도)
( 만약 "효과가 더 좋을 것이다"라면 "단측검정" 기각역이 한쪽에만 있음)
* 주의: 위의 양측검정에서 양측검정이라고 1/2의 값으로 하면 안됨. 이미 양쪽이 1/2한 임계치 값임에 유의
(즉, 임계치 X 2 = 유의수준 II 유의수준의 1/2이 임계치)
1종오류와 2종오류
자유도 (DF: Degree of Freedom): 사례수 (N-1)
주어진 조건에서 자유롭게 변화할 수 있는 변인의 수.
가설 검증의 절차
1) 귀무가설(H0/영가설)과 대립가설(H1/연구가설) 설정
2) α (유의수준) 결정: 예- 유의수준 5%는 α=0.05
3) α를 충족시키는 임계치 결정
4) 통계량과 임계치 비교
5) 결과해석
'한상진의 경영학 특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12강 - 1부] 광고 전략- 광고 유형 (0) | 2020.12.20 |
---|---|
[시장조사] 제11강 - 9부: 연구 조사방법론 Deep-Dive: 추정 및 가설 검증 (2) (0) | 2020.11.23 |
[시장조사] 제11강 - 7부: 연구 조사방법론 Deep-Dive- 신뢰성과 타당성 (0) | 2020.11.16 |
[시장조사] 제11강 - 6부: 연구 조사방법론 Deep-Dive- 측정과 척도 (0) | 2020.11.06 |
[시장조사] 제11강 - 5부: 연구 조사방법론 Deep-Dive- 설문작성과 표본추출/오차 (0) | 2020.1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