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경제경 한상진 실전 경영 강의

한상진의 경영학 특강

[시장조사] 제11강 - 8부: 연구 조사방법론 Deep-Dive: 추정 및 가설 검증 (1)

의경제경 2020. 11. 16. 22:30

추정

통계량 (Statistics)을 기초로 모집단의 특성인 모수를 추측하는 통계분석 방법

 1) 구간추정: 모수를 일정 구간으로 추측

 2) 점추정: 모수를 단일치로 추측

 

가설

검증되지 않은 2개 이상의 변수사이의 관계를 검증가능한 형태로 기술하는 것.

가설은...

 1) 계량화가 가능해야 한다.

 2) 경험적으로 검증가능해야 한다.

 3) 조사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야한다.

 4) 간단, 간결, 명료해야 한다.

 5) 너무 당연한 명제는 안된다.

 

신뢰도 (신뢰수준)

모집단의 평균 μ가 포함될 신뢰 구간.

 1) 95% 신뢰도 (신뢰수준)

 2) 5% 유의수준 (오차수준)  α=0.05- 유의수준

 3) 유의확률 (P Value, Sig.=significant level): 잘못될 확률

     * α (오차수준): 신뢰구간 내에 μ가 포함되지 않을 확률

     * P값이 작으면 "귀무가설"은 "기각"된다.

 

가설검정

Sample을 통해 얻은 사실들을 근거로 모집단에 대한 가설이 맞는지 틀리는지 분석하는 통계방법

 1) 귀무가설 (H0): 검정의 대상 (연구자는 자신의 주장을 위해 기각을 원하는 가설)

 2) 대림가설 (H1): 귀무 가설이 기각될 시 받아들여짐 (연구자가 주장하는 가설)

 

[예]

기존 두통약과 신약의 비교 시

H0: 신약은 기존 두통약과 효과가 같을 것이다.

H1: 신약은 기존 두통약과 효과가 같지 않을 것이다.

       (이 경우는 기각역이 양쪽에 있음. 양측 검정. 더 좋을수도/더 나쁠수도)

       ( 만약 "효과가 더 좋을 것이다"라면 "단측검정" 기각역이 한쪽에만 있음)

 

채택역 과 양측/단측검정

* 주의: 위의 양측검정에서 양측검정이라고 1/2의 값으로 하면 안됨. 이미 양쪽이 1/2한 임계치 값임에 유의

          (즉, 임계치 X 2 = 유의수준 II 유의수준의 1/2이 임계치)


1종오류와 2종오류

 

자유도 (DF: Degree of Freedom): 사례수 (N-1)

주어진 조건에서 자유롭게 변화할 수 있는 변인의 수.

 

가설 검증의 절차

1) 귀무가설(H0/영가설)과 대립가설(H1/연구가설) 설정

2) α (유의수준) 결정: 예- 유의수준 5%는 α=0.05

3) α를 충족시키는 임계치 결정

4) 통계량과 임계치 비교

5) 결과해석

1종오류와 2종오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