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 기사 내용을 보시면, 국내사와 다국적 제약사의 각 업무 분야별 역량 평가에서 국내사의 경우 영업 및 생산 분야를 제외한 나머지 분야 특히, 신약 개발, 임상, 마케팅에사 낮은 평가를 받았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는 국내 제약사의 구조적인 문제에 기인하는데, 국내 제약사의 의경우 Product pipeline을 갖추기 위해서 크게 3 가지 분야에서 개발하고 있습니다. 첫째는 해외 제품의 License-in입니다. 이를 통해 제품의 판권을 가져와 Brand 제품을 판매하는 것인데 이러한 방법은 특히 오리지널 제제를 많이 보유한 제약사들의 경우에 해당합니다. 하지만 의약 분업이후 국내 제약 시장의 환경 변화로 많은 제약사들이 국내에서 직접 영업을 하게되면서 License-in이 급격히 감소해오고 있으며, 최근에는 주로 시장 규모가 크지 않은 제품 이나 항생제군과 같이 외국계회사의 직접 영업이 어려운 분야를 중심으로 License-in이 진행중입니다. 둘째는 Co-marketing이나 Co-promotion입니다. 대표적인 사례로는 야일라나 올메텍이 해당됩니다. 이 같은 방법은 다국적 제약사가 해당 시장에 처음 진출하여 국내 Network이 없거나, Clinic 분야등과 같이 많은 인력이 소요되거나 경쟁이 치열한 분야에 진출할 경우 공동 판촉이나 동일 성분의 제품을 다른 브랜드로 마케팅하는 방법을 이용하는 것입니다. 섯째는 Generic이나 개량 신약 개발입니다. 제너릭 개발로 성공한 대표적인 회사는 바로 한미약품입니다. 한미와 같이 약제학적인 기술 우위나 DDS를 통한 개량 신약 개발을 통한 파이프 라인 확보가 국내사들의 가장 대표적인 방법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국내사의 경우 판촉 대상 약물이 대부분 복제의약품이거나 이미 마케팅 주도권을 다국적 제약사가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은 관계로 마케팅에 대한 노력보다는 생산 및 영업 중심의 체계를 갖추고 있어 이번 조사가 결과가 새로워 보이지는 않습니다.
국내사의 경우도 Lisence-in한 제품중 순환기나 내분비등의 분야의 거대 제품이 있는 경우 market research, advocate meeting, round table meeting, workshop, symposium등의 다양한 행사 및 strategic planning에 기초한 마케팅 플랜으로 근거 중심의 마케팅을 하고있으니, 어찌보면 이같은 차이는 국내사와 다국적사의 판촉 방법에 기인한다기 보다 판촉하는 제품이 서로 다른 환경을 가지고 있어서 벌어지는 현상이라 생각됩니다. 관련 내용을 아래 기사 참조 바랍니다. [의경 제경]
| ||||
22일 보건산업진흥원(원장 김법완)이 국내 제약사 22곳과 국내의 다국적 제약사 12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다국적사들은 국내사의 업무 가운데 신약개발과 허가, 마케팅에 상대적으로 낮은 평가를 내렸다. ( 2008년 7월 23일 데일리팜 기사 인용) 국내사의 신약개발 능력에 대해 다국적사의 63.7%인 7곳이 낮다고 평가했으며 마케팅에 해서도 6곳이 보통, 3곳이 낮음으로 평가해 상대적으로 경쟁력이 떨어진다는 인식을 드러낸 것이다.
반면 국내사의 영업 능력과 관련해서는 다국적사 12곳 가운데 66.7%인 8곳이 우수하다는 평가를 내렸으며 생산에 대해서도 9곳이 매우 우수하거나 우수하다는 인식을 가지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에 비해 국내사들은 다국적사의 업무 전 분야에 대해 대체로 우수하다는 평가를 내렸으며 특히 마케팅과 임상시험 분야에서 각각 국내사의 77.3%, 68.3%가 다국적사의 업무수준이 우수하다는 평가를 내렸다. 다만 전체 업무 가운데 국내사들은 다국적사의 허가과정 및 유통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수준이 낮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국내사의 경쟁력 미달로 협력업무가 비효과적이었다는 다국적사의 평가에 대해서는 국내사들도 동의하는 것으로 확인돼 협력 추진 경험이 있는 14곳 가운데 73.3%인 11곳이 협력이 잘 이뤄지지 못했다고 답했다. 협력이 제대로 이뤄지지 못한 사유로는 R&D 분야의 국내 경쟁력 미달이 큰 비중을 차지했으며 마케팅 분야의 정보·네트워크 부재, 생산 및 R&D 분야의 협력 창구부재도 원인으로 꼽혔다.
| ||||
'제약 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너릭 방어 전략: 제너릭 경쟁 어떻게 대처해야 하나? (0) | 2008.07.31 |
---|---|
흔히 적용되는 공정거래 규약 (0) | 2008.07.24 |
복합제 생동성 시험에 대한 의견 및 동향 (0) | 2008.07.21 |
제약 3년 평균 순익 7%…약가인하는 30%" (0) | 2008.07.14 |
영업의 핵심(Core of business) (0) | 2008.07.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