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너릭 출시는 오리지널 제제 제조사들에게는 엄청난 위협 요인이다."
아마도 오리지널 제품의 영업/마케팅 담당자들이 가장 우려하는 것이 제너릭 제품의 출시일 것이다.
제너릭 출시에 따른 복제약 제조사들의 침투 방법에는 일정한 Pattern이 있다.
가장 먼저 공격 타겟이 되는 곳은 국공립 입찰 병원, 준 종합병원 그리고 의원급이다. 입찰 병원은 단가 계약을 하기때문에 저가 약물이 Listing되기에 유리한 조건이 있어서 이고, 준종합병원 및 의원급은 DC없이 바로 코딩이 가능하고, 품질이외의 다른 요인들이 약물 선정의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종합병원 급의 경우는 의료진이 오리지널 제제에 대한 선호도가 높고, 오리지널 제약사의 경우도 적절한 자원 배분을 통해 방어에 전념하기 때문에 침투가 용이하지 않다. 제너릭의 3대 CSF는
(1) Better price
(2) Better service
(3) Same efficacy with original drug
이라고 요약할 수 있으나, 효과/안전성 면에 있어서는 실재로 임상 시험없이 생동성 검사, 비교 용출 시험 또는 이화학적 동등성 검사 만으로 제너릭 제품에 대한 유효성과 안전성을 대학병원급 이상 의료진들이 인정하지 않기 때문에
제너릭 제품들에게는 커대란 진입 장벽으로 작용하게 된다. 그러나 적잖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는 임상 시험을 제너릭 제조사들이 실시하시란, 일부 대형 제품 제너릭을 제외하고는 현실적으로 불가능 하다.
따라서 PLC Extension 전략으로 제품의 허가 및 제제학적인 변형 이외, 영업 및 마케팅에서 취하는 주요 전략은 장기간 확립된 안전성 및 유효성을 강조하는 방법을 기본으로 학회 및 종합병원 중심으로 개발된 KOL을 동원하고 병원 DC시 Gate keeper들에게 오리지널 제제의 입증된 유효성과 안전성을 인지시키면 제너릭의 원내외 진입을 저지하는 방법이 될것다. 이것이 성공적이라면 입찰병원에서 단독 지정 약물로 등록하여 원내외 리스팅을 저지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제너릭의 경우 출시후 Early revenue가 없으면, 제품에 대한 투자가 적극적으로 이뤄지지 않는 특징이 있고 공격적인 Promotion기간이 상대적으로 짧기때문에 적극적인 방어에 성공한다면 초기의 급격한 처방 하락 추세가 일정 시간이 지나면 안정화되는 경향을 볼 수 있다.
그 외 제너릭 출시에 따른 오리지널 제제 제조사들의 방어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그중 제제학적인 변화나 허가 등록과 관련된 대표적인 전략은 다음과 같다.
(1) DDS를 이용한 제제학적 변형: 예) 서방정 제제 개발 등
(2) 다른 성분과 fixed combination 제제 개발: Combo 제제의 개발
(3) 가격 인하를 통한 경쟁력 확보: 가격 인하를 통한 경쟁력 확보 및 후발 업체들의 진입 저지
(4) Patent protection & extension: 물질/제법 특허 연장
(5) 새로운 적응증 개발: 기존에 없던 적응증을 임상을 통해 개발하여, New market 개발 및 진입 저지
(6) 고용량 제제의 출시
(7) Authorized generic 출시: 오리지널/제너릭 시장 모두 독점 효과 및 일종의 가격 인하 효과에 따른 타 제너릭 진입 저지(한국은 해당 안됨)
고용량 제제의 출시는 단위당 가격 인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중등도 이상 환자에게 복용의 편의성을 높여 복약 순응도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Target 환자층이 두텁지가 않아 Market size에 제한이 있다는 단점이 있다.
향후 정부의 약가 정책이나 보험 정책에 따라 상기 전략에 큰 변화가 예상되기는하나, 현재로서는 앞서 언급된 방법들이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다.
참고로 Original 제제의 가격 정책과 관련된 기사를 데일리 팜에서 발췌하여, 아래와 같이 Posting했으니 참조하기 바랍니다.
[의경 제경]
| ||
잇따른 제네릭 공세를 방어하기 위한 전략으로 대형 오리지널들이 고용량 마케팅을 강화하고 있어 주목된다. [데일리팜 기사 발췌] |
'제약 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베이트 처벌 규정을 대폭 강화한다 (0) | 2008.08.30 |
---|---|
인간적으로 해고하라! (0) | 2008.08.07 |
흔히 적용되는 공정거래 규약 (0) | 2008.07.24 |
국내 제약사 및 다국적 제약사 역량 비교 (0) | 2008.07.23 |
복합제 생동성 시험에 대한 의견 및 동향 (0) | 2008.07.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