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경제경 한상진 실전 경영 강의

의료기기RA전문가 3

[RA] 의료기기 규제과학 전문가 - 제5장: 의료기기 해외인허가제도

해외 인허가 제도 의료기기 RA 전문가 시험에서 해외 인허가를 시험 과목에 넣은 이유는 제조업의 경우 우리나라 의료기기 제조사들의 경우 내수만으로는 충분한 시장 규모가 나오지 않아 항상 해외 수출을 같이 염두해 두고 제품을 개발하고 제조하게 된다. 궁극적으로 목표로하는 시장은 당연히 세계 최대의 미국 시장이고, 이 외 유럽, 중국, 일본 등이 들어 간다.그리고 수입사들의 경우도 미국이나 유럽 등의 PMA, 510(K), CE와 관련된 내용을 인지하고 있어야 본사의 신제품 개발 일정을 보고 국내 시장 예상 허가 일정을 파악할 수 있고, 국내 인허가 등록 진행시 필요 서류를 본사/해외 제조사에게 요청할때 원활한 의사소통이 가능하다. 각국의 인허가 제도는 공통적인 내용도 있지만 상이한 부분이 많아 잘 인지하여..

[RA] 의료기기 규제과학전문가 - 제4장: 의료기기 임상

의료기기 임상 의료기기임상 시험의 이해 [임상시험]은 인간의 질병`질환 등을 예방, 치료하는 목적으로 개발하는 기술을 상업화하기 이전에 해당 기술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사람을 대상으로 입증하는 과정이다. 즉, 사람을 직접적으로 대상으로 하는 실험적 연구이므로 [윤리적], [과학적], [의학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피험자가 윤리적으로 보호받을 것을 임상시험 실시 이전에 입증받아야 한다. → 국제적 지침들은 [1964년 헬싱키선언]을 시작으로 꾸준히 개발되었다. 임상시험의 세계화 경향에 따라 국가 간 임상시험의 윤리과학적 기준 표준화 작업을 위해 [의약품국제조화회의(ICH)]를 통해 법규/지침을 개정하였다. 임상 시험은 반드시 [식약처]와 [임상시험심사위원회(IRB)]로부터 [임상 시험 계획서 승인] 받고,..

[RA] 의료기기 규제과학전문가 - 제3장: GMP와 ISO13485

ISO 13485:2016 품질관리 시스템 요소 ISO 13485 문서화 요구 사항 - GMP GMP: 의료기기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 적합 인정서 GMP는 의료기기 업체가 생산/판매하는 의료기기가 [안전]하고 [유효]하며, [의도된 용도 (Intended Use]에 적합한 품질로 [일관성]있게 [제조/판매]됨을 보장할 수 있는 품질경영시스템을 수립하기 위한 [최소한]의 요구조건이다. GMP와 ISO13485의 경우 상당히 논리적인 접근을 통해 만들어진 Logic으로 모든 내용의 구조적인 절차화와 문서화가 기본이며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우리나라 GMP와 유럽의 품질시스템인 QMS (Quality Management System)는 ISO13485에 기초하여 만들어 졌으며, 이 장의 내용은 상당히 심도..

카테고리 없음 2022.04.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