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Me의 23은 인체의 23개 염색체를 의미합니다.
이회사는 현재 약80만명의고객을 확보했는데, 미국에서 99달러(한국은 199달러로 정했나보군요)는 원가수준. 실재 수익은 수집된 유전자정보의 판매를 통해이뤄집니다.
실재로 작년에 제넨텍에 6천만불에 이 분석된 정보를 판매하였습니다. 신약 개발을 위한 중요한 정보입니다. 물론 비난도 같이 받고있고요.
환자가 타액을 의료기관을 우회하여 간단히 회사로 보내면 분석된 인종적, 유전체 검사결과를 받아볼수있습니다.
하지만 분석결과에 대한 전문의료진의 해석은 꼭필요하다고 봅니다.
[기사스크랩]
쇼핑하듯..유전자 검사 쉬워진다
6월 말부터 기업에 서비스 허용 마크로젠 등 서비스 서둘러 오·남용 등 부작용 논란도
한국경제|박영태
입력 16.05.08.
즐겨찾기 추가하기 글씨크기 작게글씨크기 크게
[ 박영태 기자 ] 다음달 말부터 당뇨 고혈압 등의 발병 확률을 미리 알아보는 유전자 검사가 쉬워진다. 미국 영국 일본 등처럼 국내에서도 병원에 가지 않고 인터넷 등을 통해 민간기업이 제공하는 각종 유전자 검사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보건복지부는 8일 의료계와 산업계 전문가로 구성한 ‘유전자 검사제도 개선 방안 태스크포스’가 이 같은 내용의 민간기업 유전자 검사 서비스 허용 방안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복지부는 태스크포스가 내놓은 방안을 확정한 뒤 이달 중순께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 심의를 거쳐 다음달 30일부터 시행할 예정이다.
이종은 유전체기업협의회 회장(디엔에이링크 대표)은 “질병 예방 등에 개인 유전 정보를 폭넓게 활용할 수 있다”며 “미래 먹거리로 주목받는 유전자분석산업의 가치도 커질 것”이라고 말했다.
병원 안가고도 당뇨·고혈압 등 'DNA검사' 받는다
보건복지부 ‘유전자 검사제도 개선방안 태스크포스(TF)’가 4개월여의 논의 끝에 마련한 민간기업의 유전자 검사 허용 범위는 당뇨, 고혈압 등 만성질환과 비타민C 대사 관련이다. 체질량 등 비만과 관련된 유전자 검사 일부도 포함됐다. 다만 폐암 위암 등 암과 블룸증후군 등 희귀 유전질환과 관련된 유전자 검사는 제외됐다.
이 번 조치로 국내에서도 다음달 말부터 미국 영국 등 해외에서처럼 인터넷으로 유전자 검사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미국 바이오기업 23앤드미는 온라인으로 신청한 뒤 199달러를 내면 분석 키트를 집으로 보내준다. 키트에 침 등을 받아 보내주면 질병부터 약물 반응, 알코올에 대한 민감도, 체중 등 다양한 유전 정보를 분석해준다.
유전 정보 분석 시장의 문턱이 낮아지면서 질병 예방뿐 아니라 치료법이나 치료제 개발 속도가 빨라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특정 질병을 일으키는 유전자 변이를 밝히면 이에 맞는 표적 치료제를 개발할 가능성이 커지기 때문이다. 화이자, 로슈 등 다국적 제약사는 23앤드미와 손잡고 염증성 장질환, 파킨슨병 등 다양한 치료제 개발에 나섰다.
마크로젠 디엔에이링크 랩지노믹스 등 국내 유전자 검사 전문 기업들은 관련 서비스 출시를 서두르고 있다. 국내 유전자 검사 시장이 급팽창할 것이라는 기대에서다.
업계에서는 발병 확률 정보 등을 토대로 식단 조절 등 헬스 컨설팅 사업 등이 커질 것으로 보고 있다. 진승현 랩지노믹스 대표는 “소비자들이 유전자 검사 서비스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법을 계획하고 있다”고 전했다.
의료계 등 일각에선 유전자 검사 오남용 등의 우려를 제기하고 있다. 이 때문에 성직자 의료인 등으로 구성된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의 심의 과정에서 진통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조미현 기자 mwise@hankyung.com
'제약 경영 > 의료 경영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LEGAL] 의료기기사전 검열 위헌 이후: 식약처 자율 심의기구 입법 예고 (2021.4.7) (0) | 2021.04.08 |
---|---|
인공지능의 지방흡입술 적용: 365mc .A.I.L System(Motion capture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ssisted Liposuction System (0) | 2017.09.15 |
성공적인 의약품을 출시하려면? (0) | 2015.07.15 |
미국의료서비스 들여다 보기 (0) | 2014.10.06 |
인터넷·지하철 등 의료광고도 심의대상 포함 (0) | 2010.04.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