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경제경 한상진 실전 경영 강의

제약사례 2

[Case Study] 존슨앤존슨 타이레놀의 위기 대응 사례

의약품관련 경영 사례중 이만큼 유명한 사례도 없을 것입니다. 이번 주제는 바로 존슨앤존슨의 타이레놀 사건에서의 위기 관리 사례입니다. [사건의 발생] 이 사건은 1982년 가을 익명의 범인이 악의적으로 시카고 지역의 6군데 약국의 타이레놀(Tylenol Extra-Strength Capsule)을 독극물인 시안화물(청산가리)로 바꿔치기하여 7명이 사망한 사건입니다. [당시 상황] 지금도 유명한 제품이지만 그 당시 타이레놀은 존슨앤존슨 이익의 19% (Q3.1982)를 차지하였고, 회사의 전체 연간 성장률에서 33%의 기여도를 가진 제품이었으며, 진통제 시장에서의 시장점유율이 37%에 이르는 매우 중요한 제품이었습니다. 이렇게 중요하고 거대한 제품에 예상하지 못한, 그리고 회사가 전혀 통제할 수 없는 치명..

[Case Study] Bayer 아스피린 상표권 사례

124살된 브랜드 [아스피린] 이야기 [아스피린의 기원] 성분명 아세틸살리실산, 제품명 아스피린은 1897년 개발된 약물입니다. 지금까지 총 600억 Tablet이 판매되었을 정도로 많이 판매된 의약품이기도 하구요. 사실 동서양 모두에서 아스피린의 원천인 버드나무껍질은 기원전부터 진통제로 사용되어 왔었습니다. 그 유명한 이순신 장군 일화에서도 장군이 과거시험 도중에서 낙마하셨을 때도 바로 이 버드나무 껍질을 이용하셨지요. [아스피린은 사실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의 합작품?] 1828년 독일의 약사였던 요한 부크너는 버드나무 껍질 속에서 노란색 결정의 Salicin이라는 성분을 추출해 냅니다. 10년 뒤 1838년 이탈리아의 화학자였던 라파엘 피리아는 Salicin에서 Salicylic Acid 성분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