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경제경 한상진 실전 경영 강의

의료산업사례연구 3

[특강] 피부과 병원광고시 흔히 발견되는 위반 사례 (1)

우리 의료법 제56조에서는 의료광고 시 금지되는 사항을 명시해 놓았습니다. [의료법]에서 규제하는 주된 대상은 국민 건강 증진과 관련된 치료, 예방, 재활 등 소위 보험과목을 주된 대상으로 합니다. 따라서 규제를 매우 보수적으로 치료영역을 중심으로 의료광고를 규제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피부과 영역에서는 질환, 국민 건강 증진, 치료와 무관한 미용시술 분야가 급격히 발전되고 시장 규모도 커지고 있습니다. 여기서 법령과 현실 사이 커다란 괴리가 발생하는데, 치료분야 중심의 보수적이고 엄격한 규제가 피부미용 시장에는 지나치게 엄격하게 보이기 때문입니다. 시장 내 경쟁도 치열하고, 다른 경쟁 의료기관에서도 빈번히 의료법을 어기고 광고를 하고, 이와 똑같이 하지 않으면 영업상 손해를 보는 것같고, 여기에 의료기관..

[Case Study] 화이자와 구충제, 페니실린, 그리고 백신

화이자의 역사는 1849년까지 거슬러 올라갑니다. [독일에서 약제사 수련생으로 화학을 공부한 찰스 화이자 (Charles Pfizer)와 제빵 기술을 익힌 찰스 에어하트(Charles Erhart)는 각자의 지식과 기술을 합쳐 1849년 뉴욕 브룩클린에 화학 약품 회사인 찰스 화이자 앤 컴퍼니 (Charles Pfizer & Company)를 설립했습니다. (출처: 한국화이자제약 웹사이트)] 화이자의 첫 번째 혁신은 시장의 니즈에 충족하는 제품 개발에서 출발하였습니다. 그 당시 구충제의 경우 쓴맛이 강했는데, 제과기술자인 찰스 에어하트와의 협업으로 쓴맛을 줄인 사토닌 당의정을 판매하였습니다. (당의정: Sugar-coated tablet. 정제표면에 백당의 경질층을 입힌 것) 이후 구연산*, 붕산, 요오..

[Case Study] 필립스 양압기 리콜 사례

한국 양압기 시장은 2018년 7월부터 국민건강보험 급여가 적용되기 시작하면서 지속적으로 성장 중인 시장입니다. 기존에 양압기 가격 만 약 200만원 정도 하고, 별도의 소모품 비용도 들어가던 제품을 수면무호흡증 진단 후 [처방 임대]를 받을 경우 2022년기준 본인 부담금 약 1만9천원에 양압기는 물론 필터와 마스크와 같은 소모품들 까지 모두 건강 보험 혜택을 받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현재 이 시장의 주요 Player는 필립스(Phillips)와 레즈메드(ResMed) 입니다. 그런데 2021년 4월 26일, 필립스는 당해 1분기 실적 발표에서 수면 및 호흡기 케어 사업부 일부 제품에 적용된 부품에 문제가 있음을 확인했다고 공시한 후, 잠재적 위해가 있다고 결론 내리고, 같은 해 6월 14일 글로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