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경제경 한상진 실전 경영 강의

의료기기사례 2

[Case Study] 존슨앤존슨 타이레놀의 위기 대응 사례

의약품관련 경영 사례중 이만큼 유명한 사례도 없을 것입니다. 이번 주제는 바로 존슨앤존슨의 타이레놀 사건에서의 위기 관리 사례입니다. [사건의 발생] 이 사건은 1982년 가을 익명의 범인이 악의적으로 시카고 지역의 6군데 약국의 타이레놀(Tylenol Extra-Strength Capsule)을 독극물인 시안화물(청산가리)로 바꿔치기하여 7명이 사망한 사건입니다. [당시 상황] 지금도 유명한 제품이지만 그 당시 타이레놀은 존슨앤존슨 이익의 19% (Q3.1982)를 차지하였고, 회사의 전체 연간 성장률에서 33%의 기여도를 가진 제품이었으며, 진통제 시장에서의 시장점유율이 37%에 이르는 매우 중요한 제품이었습니다. 이렇게 중요하고 거대한 제품에 예상하지 못한, 그리고 회사가 전혀 통제할 수 없는 치명..

[Case Study] Merck 바이옥스 임상시험 사례

제약사에서 임상시험 연구의 윤리성이 강조되는 것은 비단 시험의 객관성, 과학성 문제에 그치지 않고 기업의 지속 가능한 경영, 평판, 주가, 손익에도 상당한 영향을 줍니다. 그 사례로 미국 머크 (MSD)의 바이옥스 사례를 살펴 보겠습니다. 1999년 Pfizer와 Merck(미국 Merck, MSD)사는 기존 NSAIDs의 위장관계 부작용을 현저히 줄인 COX-2 저해제를 출시합니다. 각각 쎄레브렉스(celecoxib)와 바이옥스(rofecoxib). 이 제품들은 골관절염, 류마티즘, 그리고 급성통증에 사용되는 약물들로 기존 주 처방 제품이었던 스테로이드나 NSAIDs에 비해 이상반응(위장관계)을 줄인 새로운 기전의 혁신적 제품이었습니다. 사실 이 두 제품들은 출시 이후 상당히 좋은 판매를 보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