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경제경 한상진 실전 경영 강의

의료 경영/병원 경영 마케팅 포인트

[제6강] 병원에서 쉽게하는 시장조사 (Market Research): 3장

의경제경 2014. 12. 30. 14:05

병원에서 쉽게하는 시장조사 (Market Research): 3

 

조사방법의 종류

조사 방법에는 크게 정량조사(Quantitative Study)와 정성조사(Qualitative Study)로 나뉩니다.

그리고 세부 방법으로는 면대면(Face to Face), 심층면접, 패널조사, 우편, 전화, 온라인조사, Hall test, Gang Survey, Focus Group Interview/Discussion(표적집단 면접법), Deliphi, Diary study 그리고 HUT(Home used Test) 등이 있습니다.

일상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조사는 선거 시 출구조사나 기업들이 발표하는 리서치 조사일 겁니다. 하지만 소규모 의원급에서 실시하기에는 지식, 경험, 비용, 그리고 인력이 충분하지 않습니다. 시장조사팀을 보유한 기업들도 시장조사는 대부분 외주를 주고, 비용도 적게는 몇천에서 억단위로 들어가니, 아예 생각조차 할 수가 없을 것입니다.

기존 원내 환자 DB를 활용할 수 있다면, 우편조사나 전화서베이 또는 내원환자들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해 조사할 수 있고, 통상 6~8명을 대상으로 심층으로 진행하는 표적집단면접법을 통해 원내 새로운 시술이나 상품에 대한 환자들의 반응을 살펴보고 마케팅 전략에 참고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설문이나 Discussion Guide를 잘 만들어야하니, 조사 목적과 조사 대상을 고려하여 통찰력이 있는 직원을 통해 설문을 작성해 볼 수 있을 것입니다.

 

설문지 작성 가이드

설문지 작성의 대원칙은 MECE(Mutually Exclusive & Collectively Exhaustive) 입니다.

말이 좀 어려워 보이지만 원칙은 간단합니다: 전체 내용을 포괄하면서 질문/보기 상호간에는 겹침이 없이 작성해야 한다는 원칙입니다.

 

[MECE 개념도/그림Wikipedia 발췌]

예를 들면

-       지난 6개월간 저희 병원에서 받은 시술의 종류 중 만족도가 가장 높은 시술은 무엇이었습니까?

     리프팅

     보톡스

     필러

     레이저

     지방이식

상기 설문에서 리프팅과 보톡스-필러-레이저가 각기 겹치게 됩니다. 각각의 시술로 리프팅이 가능하니 응답자는 햇갈리게 되고, 명확한 답변이 아닌 동일

 항목이 다른 답변으로 나뉘어 지게될 것입니다. 또한 그외 시술을 받은 환자들은 답변할 방법이 없게 됩니다. 질문 역시 무엇에 대한 만족도 인지 명기하여

정확한 니즈를 파악 할 수있습니다. , 상호간에 겹치고 전체 내용을 포괄하지 못한 질문입니다.

이 질문을 원칙에 맞게 바꾼다면 아래와 같이 변경할 수 있을 것입니다.

-       지난 6개월간 저희 병원에서 받은 시술의 종류 중 치료결과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은 시술은 무엇이었습니까?

     보톡스

     필러

     레이저

     지방이식

     기타 (자세히:             )

-       상기 질문에 O번이라고 답변하신 이유는 무엇입니까?

위와 같이 변경해서 질문을 구체화해서 답변을 정확성을 높이고, 상호겹치지않지만 포괄적으로 전체 내용을 물어볼 수 있습니다. 또한 답변에 대한 이유를

 물어 보다 지속기간인지, 부작용이 없어서인지, 사후 관리를 잘해줘서 인지, 가격대비 만족도 인지 등등 구체적인 니즈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그외

분석과정을 고려해 설문을 작성

의료의 특성상 흔히 저지르는 실수로 너무 전문적인 용어를 사용하지 말 것. (: 안면거상술, 하안검성형술, 보툴리눔톡신 주사, 엔디야그 레이저 토닝 등등)

설문의 배치를 고려할 것 (: “귀하는 OOO피부과에서 물광주사 시술을 받은적이 있습니까?”라는 설문뒤에 “ OOO피부과 하면 제일 먼저 떠오르는 시술은 무엇입

니까?”라는 질문을 배치하면 나중 질문은 앞질문에 의해 Bias가 생기게 됩니다.)

질문을 그룹별로 나누어 물어 본다 (: 가격에 대한 질문은 다른 가격 관련 질문과 함께 배치.친절도-가격-효과 등의 질문이 섞여있으면 응답자도 햇갈리고, 코딩과

 분석시에도 불편)

민감한 질문이나 생각하는데 시간이 걸리는 질문은 뒷부분에 배치합니다.

리커트척도를 이용해 설문하는 경우 짝수 단위로 배정해 중앙집중화를 막습니다. (이 경우 그런지 아닌지 그룹이 확실히 나뉘게 됩니다)

 그 외 질문에 작성자의 편향된 감정이 실리지 말아야하거나 너무 많은 보기를 제시하거나 하지 말아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