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경제경 한상진 실전 경영 강의

공급망관리 3

[SCM] 알아두면 유익한 공급사슬관리

2020년 Pandemic을 촉매로 기존 질서에서 많은 부분들이 바뀌는 것을 실무 맡고 있는 비즈니스맨들은 피부로 느끼실 겁니다. 지난 2년간 넘치는 유동성과 수요증가에도 공급망의 붕괴로 시장에 공급을 제대로 할 수가 없었습니다. 세계화(Globalization)에서 블록화(Blocking)로, Just in Time (JIT)에 기초한 물류 및 재고 관리 기법은 다시 과거의 Just in Case(JIC)로의 회귀해가며 물류/재고 비용의 증가를 초래하고 있습니다. 제가 속한 기업에서는 한 대의 장비를 조립하기 위해 수 많은 부품과 구성품들이 필요하고, 여러 Vendor들로부터 부품을 공급받아 조제소에서 조립생산합니다. 또 조립된 제품은 각 나라에 수입되어 국내 수입통관 절차를 거쳐 창고에 입고되고 고객..

[S&OP] 제14강- 2부: 판매 예측 (Sales Forecast)

마케팅 (특히 제약회사나 의료기기회사)에서 중요하게 다루는 분야 중하나가 바로 판매 예측이다. (재미있는 것은 판매예측은 기업에서 정말 흔하게하는 활동이고, 가장 심혈을 기울여 주기적으로 하는 업무임에도 관련된 전문서적들은 거의 없다시피하다. 사실상 많은 기업들이 구조적인 체계없이 과거 판매 History와 시장/회사 성장율에 작성자의 감(?)을 더하여 작성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물론 영업부서에서도 하지만 좀더 중장기적인 예측과 제품의 생산이나 수입, 원자재 조달을 위한 판매 예측은 주로 마케팅부서에서 하게된다. 이전에는 무조건 여유있게 잡아서 판매에 지장이 없도록하는게 우선이었지만, 원자재의 과잉 구매, 과잉 생산, 과잉 재고를 줄이기 위해 판매 예측의 정확도(accuracy)를 높이려는 노력이 ..

[S&OP] 제14강- 1부: 공급망관리, 판매예측, 운영관리 용어 정리

기본 용어 정리 BASIC TERMINOLOGIES Supply Chain: 공급망 (공급사슬), 공급망이 더 적절한 번역으로 생각된다. 공급자~사용자가 체인으로 연결되어, 원자재~완제품의 최종소비까지의 Process이다. 공급망에 따라 원자재를 수급하고, 생산, 유통, 소비시키는 일련의 과정이다. SCM: Supply Chain Management, 공급망의 활동들을 계획, 구성, 조정, 운영하는 일련의 활동 S&OP: Sales and Operation Planning, 기업의 제품 공급에 있어 수요와 공급 간의 균형을 유지하도록하는 업무 활동. Pre-SOP: 중역 S&OP 미팅에 앞서서 미리 열리는 회의. SF: Sales Forecast,미래 수요에 대한 예상치 Detailed Forecast:..